2018.06.28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우리는 아침부터 밤까지 일하는 것을 ‘근면 성실’이라는 이름으로 당연시했습니다.
통계청의 2016년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주 60시간을 넘겨 노동하는 사람은 100만 명에 이릅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주 60시간을 과로사 산재 기준으로 정의합니다.
매일 한 명의 노동자가 과로로 목숨을 잃는 비인간적인 사회, 사람이 없는 ‘근면 성실’ 이제 바꿔야 합니다.
7월 1일부터 과로에 빼앗긴 주 16시간이 노동자에게 다시 돌아갑니다.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노동시간 단축법’이 시행됩니다.
노동은 사람을 위한 것, 사람을 우선하는 대한민국을 바꿔갑니다.
2018.06.28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우리는 아침부터 밤까지 일하는 것을 ‘근면 성실’이라는 이름으로 당연시했습니다.
통계청의 2016년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주 60시간을 넘겨 노동하는 사람은 100만 명에 이릅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주 60시간을 과로사 산재 기준으로 정의합니다.
매일 한 명의 노동자가 과로로 목숨을 잃는 비인간적인 사회, 사람이 없는 ‘근면 성실’ 이제 바꿔야 합니다.
7월 1일부터 과로에 빼앗긴 주 16시간이 노동자에게 다시 돌아갑니다.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노동시간 단축법’이 시행됩니다.
노동은 사람을 위한 것, 사람을 우선하는 대한민국을 바꿔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