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참여 체결 동의안 시의회 상임위 통과…화장로·봉안시설·자연장지 갖춰
이재연 기자 | hanamilbo@naver.com
하남시와 광주시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하남시가 장사시설이 없어 불편을 겪는 인근 지자체인 광주시와 공동으로 화장시설을 건립해 같은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는 것.
지역 내 화장장이 없어 성남과 용인, 심지어 강원도까지 원정 화장을 떠나는 등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 취지다.
하남시의 경우 도시공사에서 직영하는 4,620㎡ 규모의 장례식장과 고인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봉안당 등 장사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화장장은 없는 상태다.
또, 미사강변도시를 비롯한 위례신도시, 감일지구 등 신도심의 경우 유입 인구가 증가하면서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적체로 장례식이 4~5일장으로 늘어나는 등 유가족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면서 지역에 주소를 둔 고인들이 황천길까지도 차별을 받고 있다는 불만의 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남시의회도 지난 5일 하남시가 제출한 (가칭)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동의안이 하남시의회 소관 상임위인 자치행정위원회를 통과, 오는 14일 제2차 정례회에서 의결만을 남겨두고 있다.
종합장사시설이 지어지는 광주시는 지난 4월 본 동의안을 광주시의회로부터 승인받은 상태여서 양 도시 간 장사시설 광역화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장사시설은 화장로 5기, 봉안시설 1만 9,628기, 자연장지 2만 4,672기로, 소요예산은 460억원(부지매입비 제외)이 투자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사업비의 경우 현재 인구수를 감안해 광주시 250억원, 하남시 210억원 분담(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향후 도래할 인구수 등도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어 조정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태이다.
장사시설 부지는 광주시 관내로 정해지며 광역화 추진 시 건축비의 70%를 국비 지원받을 수 있어 실제 광주시 예산은 100억원 규모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광주시가 현재 추진 중인 공동 장사시설 인근 지역에는 100억원 이상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 참여 체결 동의안 시의회 상임위 통과…화장로·봉안시설·자연장지 갖춰
이재연 기자 | hanamilbo@naver.com
하남시와 광주시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하남시가 장사시설이 없어 불편을 겪는 인근 지자체인 광주시와 공동으로 화장시설을 건립해 같은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는 것.
지역 내 화장장이 없어 성남과 용인, 심지어 강원도까지 원정 화장을 떠나는 등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 취지다.
하남시의 경우 도시공사에서 직영하는 4,620㎡ 규모의 장례식장과 고인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봉안당 등 장사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화장장은 없는 상태다.
또, 미사강변도시를 비롯한 위례신도시, 감일지구 등 신도심의 경우 유입 인구가 증가하면서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적체로 장례식이 4~5일장으로 늘어나는 등 유가족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면서 지역에 주소를 둔 고인들이 황천길까지도 차별을 받고 있다는 불만의 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남시의회도 지난 5일 하남시가 제출한 (가칭)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동의안이 하남시의회 소관 상임위인 자치행정위원회를 통과, 오는 14일 제2차 정례회에서 의결만을 남겨두고 있다.
종합장사시설이 지어지는 광주시는 지난 4월 본 동의안을 광주시의회로부터 승인받은 상태여서 양 도시 간 장사시설 광역화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장사시설은 화장로 5기, 봉안시설 1만 9,628기, 자연장지 2만 4,672기로, 소요예산은 460억원(부지매입비 제외)이 투자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사업비의 경우 현재 인구수를 감안해 광주시 250억원, 하남시 210억원 분담(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향후 도래할 인구수 등도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어 조정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태이다.
장사시설 부지는 광주시 관내로 정해지며 광역화 추진 시 건축비의 70%를 국비 지원받을 수 있어 실제 광주시 예산은 100억원 규모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광주시가 현재 추진 중인 공동 장사시설 인근 지역에는 100억원 이상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